교원자격증 취득하는 3가지 방법

교원자격증 취득하는 3가지 방법에 대해 적어보겠습니다. 교사가 되기 위한 가장 처음 해야하는 일은 교원자격증 취득입니다. 이것은 교사가 될 수 있는 최소한의 조건입니다. 어떠한 방법으로 교원자격증을 발급받을 수 있는지, 취득하기위해 필요한 요건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이 모든 내용은 교원자격검정 실무편람에 수록되어 있습니다. 더 자세한 사항은 아래 링크를 통해 2024년 교원자격검정 실무편람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교원자격증 취득방법

교원자격증 취득 방법은 아래의 세가지뿐입니다.

  • 사범대 또는 교육학과 졸업
  • 일반학과 재학 중 교직이수
  • 교육대학원 양성과정 졸업

각각의 방법에 대하여 알아봅시다

사범대 또는 교육학과 졸업

고등학교 졸업 후 사범대 또는 교육학과에 진학하는 방법입니다. 교사 배출을 목적으로 하는 만큼 학과 교육과정을 그대로 이수하면 졸업시에 교원자격증이 나옵니다.
복수전공을 한다면 교원자격증을 추가로 취득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연계전공을 통해 가정-기술·가정, 물리-통합과학 등의 교원자격증 취득도 가능합니다.

일반학과 재학 중 교직이수

고등학교 졸업 후 사범대가 아닌 일반학과에 진학하여 교직을 이수하는 방법입니다. 대부분 2학년이 되어 교직과정을 신청하는데, 모든 학생이 교직을 이수할 수는 없고 과에서 미리 정해둔 학생 수만큼만 교직과정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대게 정원의 10% 정도 학생만 신청이 가능하므로 1학년때 높은 학점을 받아야 가능합니다.

교육대학원 양성과정 졸업

4년제 대학 졸업 후 관련학과 교육대학원 양성과정에 진학하는 방법입니다.
이때, 조건이 있는데 반드시 대학 전공 관련 학과로만 진학이 가능합니다.
유사 학과인 경우는 학부때 이수한 과목을 얼마나 인정해 주느냐에 따라 진학이 가능하기도 합니다.

2026년부터 교원자격증 취득방법

그런데, 2025년까지는 세가지 방법이 모두 가능하지만 2026년부터는 방법이 축소됩니다.

영어,수학과 같은 일반교과는 사범대(교육학과 포함)를 졸업해야만 교원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습니다.
기존의 교직이수나 교육대학원 양성과정은 폐지됩니다.

그러나 제2외국어, 고교학점제의 선택과목, 비교과 등 사범대학에 설치되어 있는 않는 과목은 기존 방법대로 세 가지 모두 가능합니다. 

자신의 상황에 따라 진학 경로를 설정하셔야 하겠습니다.

교원자격 무시험 검정요건

이수학점 및 성적 기준(교과교사기준)

 전공과목교직과목
이수학점50학점 이상22학점 이상
*교육실습4주, 교육봉사60시간 포함임.
성적기준평균 75점이상평균 80학점이상

학부에서 교원자격증을 취득하는 사람은 어렵지 않게 이수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5~6학기로 이루어진 교육대학원에서 이 학점을 이수한다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반드시 30학점 정도는 학부에서 이수를 하고 대학원으로 진학하여야 합니다. 그래서 관련학과 졸업은 필수입니다. 

그 외 필요 항목 (교원양성과정 기간에 따라 상이)

  • 교직 적성 및 인성 검사 : 적격 판정 1회 이상 또는 2회 이상
  • 응급처치 및 심폐소생술 실습 : 1회 이상 또는 2회 이상
  • 성인지 교육 이수 : 2회 이상 또는 4회 이상